옥상방수를 할 때에는 여러 방수자재가 쓰입니다. 하나의 방수자재는 장단점이 함께 존재합니다. 서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방수자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시공한다면 옥상의 방수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시공 전의 옥상

시공을 진행할 옥상의 모습입니다. 기존에 방수자재를 사용하여 방수 처리를 했겠지만 현재는 옥상의 맨바닥이 드러난 상태입니다. 이렇게 맨바닥에 크랙이 생긴 상태에서 방수액만 칠해서는 하자가 재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때문에 방수시트로 크랙을 잡고 방수액을 칠해 방수층을 만들 계획입니다.

물청소 작업

먼저 옥상의 먼지와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청소를 진행합니다. 바닥을 깨끗하게 쓸어낸 후 물청소 작업을 진행합니다. 물청소는 고압 세척기를 사용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옥상 바닥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습니다.

프라이머 작업

바닥을 깨끗하게 청소한 후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은 침투 방수액을 옥상 전체에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이 바닥에 스며들어 옥상에 침투 방수 효과를 주고 미세하게 남은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미장 작업

단차가 있거나 흠집 때문에 바닥이 평평하지 않은 부분에는 미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다음에 진행할 방수시트 작업을 원활하게 시공하기 위해 바닥을 평탄화하는 작업입니다. 미장 작업에는 침투 방수액과 몰탈을 적절한 비율로 섞어 사용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누수가 자주 발생하는 우수관과 조인트 부분에는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여기서도 대표적인 방수자재인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함께 사용하여 작업합니다. 방수액을 먼저 칠한 후 방수시트를 시공 부위에 알맞은 크기로 잘라 붙이고 다시 방수액을 칠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

이제 옥상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할 차례입니다. 방수액이 접착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먼저 도포한 후 방수시트를 부착합니다. 이때 방수시트의 가장자리가 조금씩 겹쳐지도록 부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긴 섬유 소재의 방수시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옥상의 크랙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습니다.

함침 작업

방수시트가 옥상 바닥에서 들떠 사이에 공간에 생기면 그 틈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상사를 막기 위해 함침 작업을 진행합니다. 함침은 침투 방수액을 방수시트 위에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옥상 바닥과 서로 일체화시키는 작업입니다.

보강 시트 작업

잘 말려준 다음 보강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은 옥상 바닥의 방수시트 사이로 물이 들어가 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수시트 밴드를 길게 붙여 막아주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마지막으로 방수시트 작업이 모두 끝나게 됩니다.

1차~3차 방수액 도포 작업

다음으로 방수액 도포 작업을 진행합니다. 완성된 방수시트층 위에 방수액을 칠해 방수층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총 3차례 방수액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쌓아줍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방수자재로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적인 기름 냄새가 없어 시공 후 두통이나 메스꺼움의 유발이 없습니다.

완공 사진

마지막으로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도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처럼 방수자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시공하면 옥상의 방수력을 확실하게 높일 수 있습니다. 옥상 누수의 원인이 되는 크랙을 방수시트로 확실하게 잡고 방수액을 두텁게 칠해 방수층을 만들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완성된 옥상은 추후 무거운 물건으로 인해 상처가 나더라도 그 부분만 고쳐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어 반영구적인 방수 수명을 갖게 됩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샌드위치판넬의 하자는 대부분 배수로에서 발생합니다. 물론 지붕 자체에 녹이 슬어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샌드위치판넬의 하자를 해결하려고 실리콘으로 보수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리콘은 열에 취약하여 오래가지 못하고 하자가 재발합니다.

샌드위치판넬 지붕의 하자

샌드위치판넬 지붕에 녹이 슬어 하자가 발생한 모습입니다. 지붕이 갈라진 부분에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확실하게 고정하고 방수액을 칠해 보수해야 합니다.

배수로의 하자

샌드위치판넬 배수로에 하자가 발생한 모습입니다. 배수로의 이음새에 실리콘으로 보수를 한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실리콘은 하자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지붕과 마찬가지로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사용할 것입니다.

기초 시트 작업

먼저 지붕과 배수로를 깨끗하게 청소한 후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은 방수액과 방수시트로 하자가 발생한 부분을 먼저 보강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방수액을 칠한 후 방수시트를 부위에 알맞게 부착합니다.

배수로 시트 작업

다음으로 배수로에 방수시트를 부착합니다. 배수로에 있는 크랙을 확실하게 고정하여 하자를 잡기 위한 작업입니다. 방수액을 먼저 칠한 후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작업합니다.

함침 작업

배수로에 부착한 방수시트가 떨어지지 않도록 함침 작업을 진행합니다. 함침 작업은 침투 방수액을 방수시트 위에 부착하여 배수로와 서로 일체화하는 작업입니다.

지붕 시트 작업, 함침 작업

샌드위치판넬 지붕에도 방수시트 작업과 함침 작업을 이어서 진행합니다. 작업에는 질긴 섬유 재질의 방수시트를 사용합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이제 방수액 도포 작업을 진행합니다. 방수시트 작업을 마무리한 후 방수액을 도포하는 작업으로 총 3차례 도포합니다.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무기질 방수액을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합니다.

완공 사진

마지막으로 상도를 진행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샌드위치판넬의 하자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방수시트로 크랙을 확실하게 잡은 후 방수액을 칠해 방수층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옥상 방수에 대한 걱정은 대부분 하자에서 비롯됩니다. 그리고 이 옥상 방수의 하자는 옥상에 생긴 크랙이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옥상의 크랙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방수액을 칠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지만, 방수액만으로는 크랙을 잡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크랙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방수시트로 크랙을 고정한 후, 방수액을 칠해 방수층을 만드는 것입니다.

시공 전의 옥상

옥상 방수를 시공하기 전 옥상의 모습입니다. 우레탄으로 시공을 한 상태로 옥상에 크랙이 생겨 그것을 버티지 못하고 하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렇게 한 번 옥상에 크랙이 생기면 우레탄과 같은 방수액을 아무리 덧칠해도 하자는 다시 재발합니다.

바탕 정리 작업

옥상의 크랙을 잡기 위해 방수시트를 부착하기 전에 먼저 바닥을 정리합니다. 하자가 심한 부분을 칼과 그라인더 등을 사용해 깔끔하게 제거하고,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은 그대로 남겨둡니다.

물청소 작업

바닥을 정리한 후, 옥상에 쌓인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청소 작업을 진행합니다. 물청소 작업에는 고압 세척기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물청소보다 깨끗하게 청소가 가능합니다.

프라이머 작업

옥상 방수의 다음 작업으로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은 침투 방수액을 옥상 전체에 도포하는 작업으로, 침투 방수액의 역할은 옥상 바닥에 스며들어 기초적인 방수 효과를 주고, 미세한 먼지와 이물질을 접착시켜 제거하는 것입니다.

미장 작업

단차가 있어 방수시트를 붙이기 곤란한 부분에는 미장 작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장은 침투 방수액과 몰탈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크랙이 자주 발생하는 우수관과 조인트 부분에는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은 방수액과 방수시트로 크랙에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는 작업입니다.

바닥 시트 작업

다음으로 옥상 바닥의 크랙을 전체적으로 잡아주기 위해 바닥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방수액을 먼저 바닥에 칠한 후, 방수시트를 부착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에는 질긴 섬유 재질의 방수시트를 사용합니다.

함침 작업

옥상 바닥에 부착한 방수시트가 떨어지면 누수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방수시트를 옥상 바닥에 고정하기 위해 함침 작업을 진행합니다. 함침 작업은 침투 방수액을 옥상 바닥의 방수시트 위에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보강 시트 작업

옥상 바닥의 방수시트 사이에 있는 작은 틈으로도 누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틈을 막기 위해 보강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은 방수시트 밴드를 옥상 바닥의 방수시트 사이의 틈에 길게 부착하는 작업입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옥상 방수의 다음 작업은 방수액 도포 작업입니다.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무기질 방수액을 옥상 전체에 도포하여 방수층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방수액은 총 3차례 도포합니다.

옥상 방수 완공 사진

마지막 작업으로 상도를 진행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이렇게 방수시트로 크랙을 먼저 해결한 후, 방수액을 칠해 방수층을 만들어주면 보다 확실하고 오래가는 옥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옥상누수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옥상에 생기는 크랙을 꼽을 수 있습니다. 옥상에 크랙이 생기면 방수액만 칠해서는 해결하기가 힘든데요. 방수액만으로는 크랙을 고정하는 힘이 부족해 하자가 계속해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옥상누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수시트로 크랙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시공 전의 옥상

시공에 들어가기 전 옥상의 모습입니다. 옥상누수가 발생하여 시공하는 김에 불필요한 구조물은 모두 제거한 후 작업에 들어갑니다. 우레탄으로 시공한 옥상은 크랙이 한 번 생기면 보수를 하더라도 하자가 계속해서 재발합니다.

바탕 정리 작업

우선 옥상 바닥을 정리합니다. 본격적인 옥상 방수 전의 밑작업으로 더 이상 쓸 수 없는 바닥을 모두 제거한 후, 계속해서 쓸 수 있는 부분만 남기는 작업입니다. 칼과 그라인더 등을 사용해 작업합니다.

물청소 작업

바닥 정리를 마친 후 물청소 작업에 들어갑니다. 옥상에 쌓인 먼지와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으로 고압 세척기를 사용해 작업합니다. 바닥 정리와 물청소 작업을 마치면 본격적인 시공 전의 밑작업이 마무리됩니다.

미장 작업

옥상 바닥에 있는 십자 모양의 홈과 단차가 있는 부분에는 미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바닥을 평탄화하여 이후의 방수시트 작업을 조금 더 원활하게 작업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미장은 몰탈과 침투 방수액을 혼합한 것으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

다음으로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은 옥상 바닥 전체에 침투 방수액을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을 옥상에 도포하면 그대로 스며들어 기초적인 방수 효과를 주고, 미세한 먼지와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누수가 자주 발생하는 우수관과 벽체 조인트 부분에는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누수에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방수액을 칠하고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작업입니다. 방수액을 칠한 후 방수시트를 부위에 알맞게 부착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

기초 시트 작업을 마친 후 옥상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합니다. 옥상의 크랙을 잡기 위한 중요한 작업입니다. 접착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방수액을 칠한 후, 방수시트를 옥상 바닥에 전체적으로 부착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에는 섬유 재질의 방수시트를 사용합니다.

함침 작업

방수시트를 옥상 바닥에 부착한 다음에는 떨어지지 않도록 서로 일체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작업을 함침 작업이라고 부릅니다. 함침 작업은 침투 방수액을 방수시트 위에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작업을 진행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

옥상 바닥에 부착한 방수시트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생깁니다. 이 틈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막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방수시트 사이의 틈을 막기 위해 방수시트 밴드를 길게 부착합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방수시트 작업을 모두 마친 후 방수액을 도포합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들어 자극적인 냄새가 없고 인체에 무해합니다. 방수액은 총 3차례 도포하여 방수층을 만들어줍니다.

완공 사진

마지막으로 상도 작업을 진행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액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옥상누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크랙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옥상의 크랙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수액만으로는 힘들기 때문에 방수시트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완공된 옥상은 이후 관리가 잘 이루어진다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제는 보통 건물이나 옥상 등에 방수 공사를 할 때 사용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방수제에 따라 방수 효과가 크게 달라지기도 하고, 어떤 것으로 만들었는가에 따라 시공 후 냄새로 인해 고생을 하기도 합니다. 시중에는 화학 재료로 만든 방수제가 많지만 건강과 환경을 생각한다면 친환경 방수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우레탄 방수제로 시공한 옥상

우레탄 방수제로 시공한 옥상의 모습입니다. 우레탄 방수제는 대표적인 화학 자재입니다. 시공 후 자극적인 기름 냄새가 나기도 하고, 무엇보다 근본적으로 크랙을 잡지 못해 하자가 계속해서 발생합니다. 이것은 아무리 우레탄 방수제를 덧칠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바탕 정리 작업

이러한 우레탄 방수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방수시트로 먼저 크랙을 잡고, 그 위에 방수제를 칠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우선 원활한 시공을 위해 옥상 바닥을 정리합니다. 하자가 심해 더 이상 쓸 수 없는 부분은 제거하고, 멀쩡한 부분만 남겨줍니다. 이어서 물청소까지 진행합니다.

미장 작업

다음으로 옥상 바닥의 단차를 없애기 위해 미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미장은 침투 방수제와 몰탈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렇게 바닥을 평탄화해 주면 방수시트를 부착할 때 편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프라이머 작업

미장 작업을 마친 후,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은 침투 방수제를 옥상 전체에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제를 옥상 전체에 도포하면 그대로 스며들어 기초적인 방수 효과를 주고, 미세한 먼지와 이물질을 흡착시켜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물이 흘러내려가는 우수관과 벽체와 바닥이 만나는 조인트 부분 등 같이 누수에 취약하거나 섬세한 작업이 필요한 부분에는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은 방수제를 칠한 후, 방수시트를 부착하고, 다시 방수제를 칠해 마무리합니다. 누수에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는 작업입니다.

바닥 시트 작업

기초 시트 작업을 마친 후, 옥상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합니다. 앞서 우레탄 방수제를 칠했던 옥상 하자의 원인이 된 크랙을 해결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옥상 바닥 전체에 방수제를 칠한 후, 방수시트를 부착합니다.

함침 작업

방수시트를 바닥에 부착했다고 모든 것이 끝나지 않습니다. 바닥에서 방수시트가 떨어져 들뜨게 되면 그 틈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상사를 막기 위해 함침 작업을 진행합니다. 함침 작업은 침투 방수제를 바닥 시트 전체에 도포하여 바닥과 일체화시키는 작업입니다.

보강 시트 작업

바닥에 부착한 방수시트의 사이로도 누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틈을 막기 위해서 보강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은 밴드 형태의 방수시트를 길게 붙여 작업을 진행합니다. 여기까지 진행하면 모든 방수시트 작업이 마무리됩니다.

방수제 도포 작업

방수시트 작업이 모두 마무리됐으니 이제 방수제를 도포할 차례입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제는 앞서 살펴봤던 우레탄 방수제와 달리 돌가루로 만든 친환경 방수제입니다. 화학 재료가 아닌 천연 재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어디에나 호환이 가능하고, 자극적인 기름 냄새가 없어 시공 후 쾌적합니다.

방수제 도포 작업

방수제 도포는 총 3차례 진행합니다. 우레탄 방수제를 하도, 중도, 상도의 3단계의 과정을 거쳐 시공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그 아래에 방수시트가 있다는 것에 차이가 있습니다. 방수제와 방수시트를 함께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을 복합 시트 방수라고 합니다.

완공 사진

이제 마지막으로 상도를 진행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존에 물이 자주 고이던 곳에는 필히 상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방수시트에 더불어 친환경 방수제를 사용해 시공한 옥상 방수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됐습니다. 완성된 옥상은 관리가 잘 된다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도막방수는 옥상에 방수액을 칠해 막을 만들어 방수를 하는 방법입니다. 도막방수에는 보통 우레탄을 많이 사용합니다. 도막방수는 비용이 다른 방법에 비해 저렴하고 시공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누수의 원인이 되는 크랙을 잡을 수 없어 하자가 한 번 발생하면 계속해서 재발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도막방수의 한계를 이겨내기 위해서는 크랙을 확실하게 잡아야 하고, 크랙을 확실하게 잡기 위해서는 방수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도막방수의 하자

도막방수로 시공한 옥상에 하자가 발생한 모습입니다. 터진 바닥을 보수하기 위해 우레탄을 덧칠한 부분이 보이지만 크랙을 잡지 못하는 것은 똑같기 때문에 얼마 못 가 하자는 다시 재발합니다. 도막방수의 하자를 제대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수시트로 크랙을 확실하게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탕 정리 작업

방수시트를 부착하기 전에 옥상을 깨끗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먼저 옥상 바닥을 정리합니다. 하자가 심해 들떠버린 바닥은 모두 깨끗하게 제거하고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부분만 남겨둡니다.

물청소 작업

다음으로 옥상에 쌓인 먼지와 이물질을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해 물청소 작업을 진행합니다. 물청소는 고압 세척기를 사용해 작업합니다. 일반적인 물청소보다 깨끗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바탕 정리 작업에 이어 물청소 작업까지 마무리하면 밑작업은 모두 끝나게 됩니다.

미장 작업

바닥에 단차가 있어 울퉁불퉁하면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옥상 바닥을 평탄화하기 위해 미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미장은 침투 방수액과 몰탈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

미장 작업을 마친 후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은 모체를 강화하여 옥상에 기초적인 방수 효과를 주기 위한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을 옥상 전체에 도포하여 작업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크랙이 많은 벽면이나 누수가 자주 발생하는 우수관과 조인트 부분처럼 섬세한 작업이 필요한 부분에는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은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사용하여 누수에 취약한 부분을 먼저 보강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바닥 시트 작업

기초 시트 작업을 마친 후에는 옥상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할 차례입니다. 방수액을 접착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먼저 칠하고 방수시트를 가장자리가 서로 조금씩 겹쳐지도록 부착합니다. 바닥에 부착한 방수시트가 크랙을 단단하게 고정하여 하자의 재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함침 작업

방수시트를 옥상 바닥 전체에 부착한 후 함침 작업을 진행합니다. 함침 작업은 방수시트가 바닥에서 들뜨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을 바닥 시트 위에 전체적으로 도포하면 그대로 스며들어 옥상 바닥과 방수시트를 서로 일체화시킵니다.

보강 시트 작업

바닥에 부착한 방수시트의 사이에는 틈이 생기게 됩니다. 이 틈으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시트 사이의 틈을 막기 위해서는 방수시트 밴드를 길게 붙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 작업을 보강 시트 작업이라고 합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방수시트로 크랙을 단단하게 고정했으니 그 위에 방수액을 칠해 방수층을 만들어 줄 차례입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들어 자극적인 냄새가 없고 시공 후에도 쾌적합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방수액은 한 번만 칠하는 것이 아니라 총 3차례 도포하여 방수층을 두껍게 쌓아줍니다. 이렇게 만든 방수층은 외부의 수분은 확실하게 막아주고 내부의 수증기는 밖으로 배출시켜 하자의 위험을 낮춰줍니다.

완공 사진

방수액 도포까지 모두 마친 후에 상도 작업을 마지막으로 모든 작업을 마무리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크랙을 잡지 못한다는 도막방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수시트를 부착한다면 확실하게 크랙을 잡을 수 있고 그 위에 방수액을 도포하여 더욱 튼튼한 옥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공사는 옥상의 누수를 막기 위한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방수공사를 확실히 해야 장마철처럼 비가 많이 올 때 누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장마철 옥상 누수의 원인은 대부분 크랙입니다. 옥상의 크랙을 확실하게 잡아야 누수를 막을 수 있습니다. 방수액을 칠하는 것만으로는 크랙을 잡을 수 없기 때문에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크랙을 잡은 후 방수액을 칠하는 것이 좋습니다.

누수가 발생한 옥상

누수가 발생하여 방수공사가 필요한 현장의 모습입니다. 우레탄으로 시공을 해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레탄은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옥상에 생긴 크랙을 고정할만한 힘이 없어 한 번 크랙이 생기면 하자가 계속해서 재발한다는 단점 또한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수시트가 필요한 것입니다.

바탕 정리 작업

우선 본격적으로 방수공사를 하기 전에 옥상 바닥을 정리해야 합니다. 하자가 심한 부분을 모두 들어내 제거하는 작업입니다. 더 이상 쓸 수 없는 부분은 칼과 그라인더 등을 사용해 제거하고 계속해서 쓸 수 있는 멀쩡한 부분만 남깁니다. 이어서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 세척기를 사용하여 물청소를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

밑 작업을 마친 후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은 침투 방수액을 옥상 전체에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을 옥상 전체에 도포하면 그대로 스며들어 기초적인 방수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미세하게 남은 먼지와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옥상의 우수관과 조인트 부분은 누수가 자주 발생하는 곳입니다. 이렇게 누수에 취약한 부분에는 기초 시트 작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초 시트 작업은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사용하여 진행합니다. 방수액을 칠한 후 방수시트를 부위에 알맞은 크기로 잘라 부착하고 다시 방수액을 칠해 마무리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

다음으로 바닥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기초적인 방수시트 작업을 마친 후에 옥상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작업입니다. 옥상의 크랙을 확실하게 잡기 위해 질긴 섬유 소재의 방수시트를 사용합니다. 방수시트가 크랙 부위에 달라붙어 터지지 않고 계절의 변화에 따른 건물의 수축과 팽창에 잘 견딜 수 있습니다.

함침 작업

방수시트로 옥상 바닥을 모두 덮은 다음에는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방수시트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함침 작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침 작업은 침투 방수액을 방수시트 위에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이 방수시트에 스며들어 방수 효과를 주고 미세한 먼지와 이물질을 접착시켜 제거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

방수시트를 옥상 바닥에 부착할 때 서로 조금씩 겹쳐서 부착하기 때문에 약간의 틈이 생깁니다. 이 틈으로 물이 들어가면 누수가 발생하여 하자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막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방수시트 사이의 틈을 막기 위해서 방수시트 밴드를 길게 부착합니다. 이 작업을 보강 시트 작업이라고 합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이제 방수시트 작업은 모두 마무리가 됐습니다. 이어서 방수액 도포 작업을 진행합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무기질 방수액입니다.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적인 냄새가 없어 시공 후에도 쾌적합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방수액 도포 작업은 1차부터 3차까지 총 3차례 도포하여 방수층을 만들어줍니다. 이렇게 만든 방수층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은 막아주고 내부의 수분은 증발시킵니다. 또한 어떤 작업 환경에나 사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좋습니다. 방수액 도포를 마친 후에는 상도 작업을 진행합니다.

완공 사진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물이 고이는 곳에는 필히 상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으로 방수공사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방수공사를 방수시트와 방수액을 함께 사용해 크랙을 확실하게 잡아야 장마철을 수월하게 이겨낼 수 있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옥상 방수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누수의 원인이 되는 크랙을 잡아야 합니다. 옥상의 크랙을 잡지 못하면 아무리 옥상 방수를 해도 누수가 재발합니다. 옥상의 크랙을 확실히 잡아 옥상 방수를 해야 앞으로 다가올 장마에 대비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옥상을 하자 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레탄 옥상 방수의 하자

옥상 방수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크랙을 잡아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렇다면 크랙을 잡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방수시트입니다. 방수시트로 옥상의 크랙을 확실하게 잡은 후 그 위에 방수액을 칠하는 것이 제일 효과적입니다. 방수시트 없이 방수액만 칠해서는 크랙을 따라 옥상이 갈라지고 맙니다.

바탕 정리 작업

시공 전의 옥상 바닥을 보면 상태가 상당히 심각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갈라진 바닥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모두 긁어내고 계속해서 쓸 수 있을만한 부분만 남겨둡니다. 하자가 생긴 바닥을 그대로 두고 그 위에 방수 시공을 해봐야 하자는 계속해서 재발하기 때문입니다.

물청소 작업

바닥을 깔끔하게 정리한 다음에는 물청소 작업을 합니다. 옥상에 쌓인 먼지와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고압 세척기를 물청소 작업을 진행하여 옥상 바닥을 깨끗하게 청소합니다. 바탕 정리 작업에 이어 물청소 작업까지 마치면 본격적인 옥상 방수 시공에 앞선 기본 작업이 끝나게 됩니다.

프라이머 작업

본격적인 옥상 방수의 첫 작업으로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는 침투 방수액을 옥상 바닥 전체에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을 옥상 바닥에 도포하면 그대로 스며들어 기초적인 방수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미세하게 남은 먼지와 이물질을 흡착시켜 제거합니다.

미장 작업

하자로 인해 바닥에 흠집이 생겨 단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바닥을 평탄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이 단차 없이 평평해야 방수시트를 부착할 때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바닥을 평탄화하기 위해서는 미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미장은 침투 방수액과 몰탈을 절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작업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옥상에는 누수에 취약하여 섬세한 작업이 필요한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우수관과 조인트 부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에 비해 하자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방수액과 방수시트로 보강 작업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방수액을 먼저 칠한 후 방수시트를 부착하고 다시 방수액을 칠해줍니다.

바닥 시트 작업

옥상 방수의 다음 작업은 바닥 시트 작업입니다. 옥상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작업입니다. 옥상의 크랙을 잡기 위한 핵심 작업으로 질긴 섬유 재질의 방수시트를 사용합니다. 방수액을 접착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먼저 도포한 후 방수시트를 빈틈없이 부착합니다. 이때 가장자리가 서로 조금씩 겹쳐지도록 부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침 작업

방수시트를 바닥에 꼼꼼하게 부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옥상 바닥에서 떨어져 들뜨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하는 것도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방수시트와 옥상 바닥 사이에 빈 틈이 생기면 물이 들어가 누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막기 위해 침투 방수액을 바닥 시트 전체에 도포합니다. 이 작업을 함침 작업이라고 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

방수시트를 옥상 바닥과 일체화시킨 후 보강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은 방수시트 밴드를 바닥 시트 사이의 틈에 부착하는 작업입니다. 옥상 바닥에 방수시트를 부착할 때 생기는 약간의 틈을 없애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바닥 시트를 보강하는 작업입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방수시트 작업을 모두 마쳤으니 이제 방수액을 도포할 차례입니다. 견고하게 쌓아 올린 방수시트 위에 방수액을 칠해 방수층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방수액입니다. 친환경 자재이기에 어디에나 호환이 가능하고 자극적인 냄새가 없어 시공 후에도 쾌적합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방수액 도포 작업은 1차부터 3차까지 총 3차례 진행합니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완벽하게 막기 위해 방수액 층을 두껍게 쌓아줍니다. 방수액 도포를 마친 후에는 마지막으로 상도를 진행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만약 물이 고이는 곳이 있다면 그곳은 필히 상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옥상 방수 완공 사진

이렇게 옥상 방수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함께 사용하여 시공했기 때문에 우레탄만으로 작업했던 기존의 옥상과는 확연한 방수력의 차이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완공한 옥상은 반영구적인 방수 수명을 갖게 되며 하자 보증 기간은 6년으로 옥상에 작은 상처가 나더라도 그 부분만 고쳐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