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레탄 방수는 시공 과정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한 편에 속합니다. 하지만 태양열에 약하고 크랙을 잡을 수 있는 힘이 없기 때문에 한 번 하자가 발생하면 보수를 하더라도 계속해서 재발하게 됩니다. 이러한 우레탄 방수는 크랙만 잡으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우레탄 방수를 시공한 옥상에 하자가 발생했습니다. 바닥과 벽체를 보면 크랙이 생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이 크랙이 옥상 누수의 가장 주된 원인으로 크랙을 잡을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옥상 방수의 성공 여부가 갈립니다.
우선 우레탄 방수에 하자가 발생한 부분을 들어내 제거합니다. 하자가 발생한 부분은 가능한 한 없애고 멀쩡한 부분만 남겨두기 위한 작업입니다. 이어서 물청소 작업을 진행하여 옥상 바닥을 깨끗하게 청소합니다.
우레탄 방수로 시공한 옥상 벽체의 크랙이 심한 부분에는 우선적으로 방수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방수액을 칠한 후 방수 시트를 부착하고 다시 방수액을 칠해줍니다.
다음으로 옥상 바닥 전체에 침투 방수액을 도포합니다. 프라이머라고 부르는 작업으로 침투 방수액을 옥상 바닥 전체에 도포하여 미세한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기초적인 방수 효과를 주기 위한 작업입니다.
하자가 발생한 옥상을 살펴보면 오랜 기간이 지남에 따라 생긴 상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미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침투 방수액과 몰탈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옥상을 평탄화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이어서 옥상 난간에 방수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앞선 작업과 마찬가지로 방수액을 칠한 후 방수 시트를 덮고 그 위에 침투 방수액까지 칠해 더욱 튼튼하게 마무리합니다.
옥상에서 누수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우수관과 조인트 부분에는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누수에 취약한 부분을 먼저 보강하여 튼튼한 옥상을 만들기 위한 작업입니다.
난간에 이어 기초 시트 작업을 마친 후 바닥 전체에 방수 시트를 부착합니다. 옥상 바닥 전체를 방수 시트로 덮어 크랙을 확실하게 잡기 위한 작업으로 방수액을 칠한 후 방수 시트를 부착하여 작업을 진행합니다.
다음으로 함침 작업을 진행합니다. 앞서 완성한 방수 시트 위에 침투 방수액을 도포하는 작업으로 침투 방수액은 방수 시트에 스며들어 옥상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방수 시트를 옥상 바닥에 부착할 때 생기는 틈으로 누수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 틈을 막기 위해 방수 시트 밴드를 길게 부착합니다. 이 작업을 보강 시트 작업이라고 합니다.
모든 방수 시트 작업을 마친 후에 1차부터 3차까지 3차례에 걸쳐 방수액을 도포합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방수액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적인 냄새가 없어 시공 후에도 쾌적합니다.
마지막 작업으로 상도를 진행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우레탄 방수의 하자를 해결하기 위한 방수 시공을 모두 마무리했습니다. 우레탄 방수로 시공한 옥상과 비교하여 색상부터 해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완공한 옥상은 상처가 나더라도 그 부분만 보수하여 계속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프 방수로도 옥상 누수를 충분히 막을 수 있습니다. (1) | 2025.08.01 |
---|---|
시트 방수를 옥상에 시공하면 방수력이 오래갑니다. (0) | 2025.06.27 |
옥상 방수에서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방수력입니다. (0) | 2025.05.16 |
방수 페인트가 균열을 잡지 못해 고민이신가요? (0) | 2025.04.04 |
우레탄 방수의 단점을 방수 시트로 보완하면 옥상이 튼튼해집니다.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