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수공사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방수공사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가장 쉬운 것은 사용하는 자재에 따른 구분인데요. 방수공사에 사용하는 자재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는 아무래도 복합시트방수를 꼽을 수 있습니다.
방수공사종류에는 방수액을 도포하는 것으로 작업하는 도막방수와 방수시트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시트방수가 있습니다. 도막방수의 경우 시공이 간편하지만 크랙을 잡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고, 시트방수의 경우 열에 약한 시트를 사용하면 태양열에 방수시트가 터져버려 하자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복합시트방수는 방수시트로 크랙을 잡고 그 위에 방수액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쌓아 각각의 단점을 보완한 시공법으로 옥상을 보다 오랫동안 튼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현장에도 복합시트방수를 시공하게 될 텐데요. 시공에 앞서 밑작업으로 바닥을 정리한 후 물청소 작업을 진행합니다.
바닥에 단차가 있을 경우 시트 작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미장 작업이 필요한데요. 미장은 침투 방수액과 몰탈을 혼합하여 작업을 진행합니다.
다음은 프라이머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을 도포하여 옥상 바닥에 1차적인 방수 효과를 주고 미세한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과정입니다.
옥상의 우수관과 조인트 부분은 누수가 가장 쉽게 발생하는 곳입니다. 이렇게 누수에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기초 시트 작업이 필요합니다. 방수액을 칠한 후 부위에 알맞게 시트를 잘라 붙인 후 다시 방수액을 칠해 마무리합니다.
기초 작업 후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합니다. 방수시트는 도막방수에서 할 수 없었던 크랙을 잡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섬유 재질의 시트가 건물의 수축과 팽창에 따른 크랙의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처합니다. 방수액을 칠한 후 시트를 부착하여 작업합니다.
방수시트를 바닥에 부착한 후 함침 작업에 들어갑니다. 함침은 침투 방수액을 시트 위에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은 시트에 스며들어 바닥과 서로 일체화시켜 들뜨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바닥 시트 작업을 할 때 방수시트의 가장자리를 서로 조금씩 겹쳐서 작업을 하게 됩니다. 이때 시트 사이에 약간의 단차와 틈이 생기게 되는데요. 단차를 완만하게 만들기 위해 방수시트 밴드를 길게 부착합니다. 또한 방수시트 밴드는 시트 사이의 틈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도 막아줍니다.
시트 작업을 마무리한 후 방수액을 도포합니다. 방수시트로 크랙에 완벽하게 대처한 후 방수층을 쌓아주는 과정입니다. 작업에는 천연 재료를 사용한 친환경 방수액을 사용하는데요. 방수액은 총 3차례 도포하여 작업을 진행합니다.
마지막은 상도 작업입니다. 상도는 자외선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이처럼 방수공사종류는 자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요. 복합시트방수는 두 가지 이상의 자재를 함께 사용해 시공하여 옥상이 튼튼하고 오래갈 수 있도록 시공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작업합니다. 완성된 옥상은 상처가 나더라도 그 부분만 고쳐서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게 됩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합방수로 균열을 잡으면 튼튼한 옥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2) | 2023.12.05 |
---|---|
옥상방수는 크랙을 잡을 수 있도록 시공해야 합니다. (0) | 2023.11.29 |
크랙방수에는 방수시트가 효과적입니다. (0) | 2023.11.17 |
건물방수업체를 잘 선택해야 튼튼한 옥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0) | 2023.11.15 |
옥상방수비용은 어떤 자재를 사용하는가에 따라 달라집니다. (0) | 2023.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