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방수를 시공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신경 써야 하는 것은 크랙을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방수액을 아무리 칠한다고 해도 크랙을 잡지 못하면 하자는 재발하게 되는데요. 옥상방수에서 크랙을 잡는 것은 하자의 재발과 직결되기 때문에 그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면에 있어서 복합시트방수는 방수액과 시트를 함께 사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제격이라고 볼 수 있죠.
우레탄으로 옥상방수를 시공한 현장의 사진입니다. 바닥과 벽체의 조인트 부분에 특히 하자가 심한 모습인데요. 실리콘을 사용해 임시방편으로 보강을 해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리콘은 열에 약해 얼마 못 가서 터지게 되고 하자는 다시 발생하게 됩니다.
시공에 들어가기에 앞서 실리콘부터 모두 제거합니다. 실리콘뿐만이 아니라 계속해서 쓸 수 있는 부분만 남기고 시공하는 데에 방해가 될만한 모든 부분을 제거합니다. 이 작업을 바탕 정리 작업이라고 합니다.
바닥을 정리한 후 물청소 작업을 진행합니다. 오랜 시간 동안 옥상에 쌓인 먼지와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으로 고압 세척기를 사용하여 작업합니다. 물청소까지 마치면 밑작업이 마무리됩니다.
다음 작업은 프라이머 작업입니다. 프라이머 작업은 침투 방수액을 옥상 바닥 전체에 도포하는 작업인데요. 침투 방수액은 바닥에 스며들어 방수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미세하게 남은 먼지와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합니다.
옥상 바닥을 보시면 십자 모양으로 홈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바닥에 홈이 있으면 방수시트가 완벽하게 붙지 않기 때문에 홈을 메워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바닥의 홈을 메우기 위해 퍼티 작업을 진행합니다.
누수가 발생하기 쉬운 우수관과 조인트 부분에는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방수액을 칠한 후 방수시트를 부위에 알맞게 잘라 붙인 후 다시 방수액을 도포하여 마무리합니다. 누수에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기초 시트 작업 다음으로는 옥상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합니다. 방수액을 도포한 후 시트를 빈틈없이 바닥에 부착하는 작업입니다. 크랙을 잡기 위해 필수적인 작업으로 섬유 소재의 시트를 사용하여 크랙을 잡는 데에 용이합니다.
옥상 바닥에 부착한 시트가 떨어져 들뜨게 되면 그 틈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트가 들뜨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함침 작업이 필요한데요. 함침은 침투 방수액을 방수시트 위에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은 시트에 스며들어 바닥과 서로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옥상 바닥의 방수시트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생기게 됩니다. 부착 시 가장자리를 조금씩 겹쳐 부착하기 때문인데요. 이 틈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고, 단차도 생기기 때문에 막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틈을 막기 위해 방수시트 밴드를 길게 부착합니다.
이번 옥상방수에서 가장 중요한 시트 작업이 모두 끝났습니다. 그럼 다음으로는 방수액을 도포하게 될 텐데요. 작업에는 천연 재료로 만든 친환경 방수액을 사용합니다. 방수액은 총 3차례 도포하여 방수층을 만들어줍니다.
옥상방수의 마지막 작업으로 상도를 진행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방수액을 보호합니다.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함께 사용하여 옥상방수를 하면 한 가지만 사용하여 작업하는 것보다 오래가고 튼튼한 옥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완성된 옥상은 상처가 나더라도 그 부분만 고쳐서 계속 사용할 수 있는 반영구적인 옥상이 됩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레탄 방수는 빠르고 간편하지만 그만큼 약합니다. (0) | 2023.12.14 |
---|---|
복합방수로 균열을 잡으면 튼튼한 옥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2) | 2023.12.05 |
방수공사종류는 자재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0) | 2023.11.23 |
크랙방수에는 방수시트가 효과적입니다. (0) | 2023.11.17 |
건물방수업체를 잘 선택해야 튼튼한 옥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0) | 2023.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