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 방수를 미리 살펴보지 않으면 비가 많이 내리는 장마철에 큰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옥상 방수를 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방수력입니다. 한 가지 재료가 아닌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면 방수력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옥상 방수 작업을 할 옥상

옥상 방수를 진행할 옥상의 모습입니다. 바닥면에 크랙이 보입니다. 이 부분에 일반적인 우레탄 도막 방수를 진행하면 크랙을 잡을 수 없어 하자는 결국 재발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수 시트로 먼저 작업을 하고 방수층을 쌓아 올려 작업을 진행합니다.

바탕 정리, 물청소 작업

먼저 원활한 작업을 위해 바탕 정리 작업과 물청소를 진행합니다. 하자가 발생한 부분이나 작업에 방해가 되는 부분을 칼과 그라인더 등으로 제거하고, 고압 세척기로 깔끔하게 물청소를 합니다.

프라이머 작업

밑 작업 다음으로 바닥 전체에 침투 방수액을 도포합니다. 바닥에 스며들어 침투 방수 효과를 주고 바닥의 먼지와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합니다. 이 작업을 프라이머 작업이라고 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누수에 취약한 조인트 부분과 우수관에는 기초 작업을 진행합니다. 방수액과 시트를 함께 사용해 보강 작업을 해줍니다. 이 과정이 기초 시트 작업입니다.

바닥 시트 작업

기초 시트 작업 다음으로는 바닥 전체에 방수 시트를 부착하는 작업입니다. 방수액을 먼저 도포한 후 시트를 부착합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시트는 부직포 형태의 섬유 소재를 사용한 방수 시트입니다. 질긴 시트가 바닥에 생긴 크랙을 다시 갈라지지 않게 고정합니다.

함침 작업

시트를 바닥에 부착한 다음 떨어지지 않도록 침투 방수액을 도포합니다. 시트에 스며들어 바닥과 일체화되어 들뜨지 않게 됩니다. 이 과정을 함침 작업이라고 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

방수 시트를 바닥에 부착할 때 생기는 틈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강 작업이 필요합니다. 밴드 형태의 방수 시트를 길게 붙여 틈을 막아주는 보강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다음은 방수액을 도포할 차례입니다. 앞서 진행한 시트 작업에 더해 방수액으로 층을 쌓아주는 과정입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제품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적인 냄새가 없습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은 총 3번 진행합니다.

완공 사진

방수액을 보호하기 위한 상도 작업을 진행하면 장마철에 신경 써야 할 옥상 방수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자 보증 기간은 6년이며 시공 후 관리가 잘 이루어진다면 옥상을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우레탄 방수 페인트는 시공 비용이 저렴하고 과정이 간단하여 옥상에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바로 옥상의 크랙을 잡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누수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보수를 하더라도 다시 문제가 발생합니다. 우레탄 방수 페인트의 이러한 문제를 하기 위해서는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우레탄 방수 페인트의 하자

우레탄 방수 페인트로 작업한 옥상의 모습입니다. 이렇게 옥상에 하자가 발생하면 근본적으로 크랙을 해결하지 않는 이상 하자가 계속해서 재발합니다.

시공 전 옥상의 모습

방수 공사를 시공할 옥상의 모습입니다. 바닥이 갈라진 부분에 임시로 작업을 해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임시 방편이기 때문에 누수를 버텨내지 못합니다.

바탕 정리 작업

시공에 앞서 바닥을 정리합니다. 하자가 있는 부분은 들어내 제거하고 작업에 방해가 될만한 부분은 칼과 그라인더 등 도구를 사용해 제거합니다. 정리 후 물청소까지 진행합니다.

미장 작업

단차가 있어 작업이 어려운 부분은 미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미장은 침투 방수액과 몰탈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서 작업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누수가 발생하기 쉬운 우수관과 조인트 부분은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하여 보강합니다. 방수액을 먼저 시공 부위에 도포한 후 시트를 알맞은 정도로 잘라 부착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

기초 작업을 마무리한 후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합니다. 방수시트는 바닥의 크랙이 다시 갈라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크랙이 누수의 직접적인 원인이기 때문에 이 작업을 통해 하자 재발률이 크게 낮아집니다. 기초 작업과 마찬가지로 방수액을 도포한 후 시트를 부착합니다.

함침 작업

다음은 함침 작업입니다. 시트를 바닥에 부착한 후 진행하는 작업으로 침투 방수액을 도포하는 과정입니다. 바닥과 시트를 서로 일체화시켜 들뜨는 부분이 없도록 고정하는 작업입니다.

보강 시트 작업

시트를 부착한 후 생기는 틈으로 물이 들어가면 하자가 발생합니다. 이 틈을 막기 위해 방수시트 밴드를 길게 부착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 과정이 보강 시트 작업입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이제 방수액을 도포합니다. 작업에는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방수액을 사용합니다. 천연 재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적인 냄새가 없어 시공 후 쾌적합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은 총 3번 진행하여 방수층을 보다 튼튼하게 만들어줍니다.

완공 사진

마지막 작업으로 상도를 진행하면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복합적으로 사용한 방수 공사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우레탄 방수 페인트의 계속되는 하자를 겪고 있다면 채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재는 사전적 의미로 건물에 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는 재료입니다. 이러한 방수재를 가지고 시공을 할 때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방수력은 천차만별로 달라지게 됩니다. 우레탄은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방수재지만 그렇다고 우레탄이 가장 효율적인 방수재는 아닙니다.

방수 시공을 할 옥상

우레탄을 가지고 옥상에 방수 시공을 하면 크랙을 잡지 못하기 때문에 누수는 다시 발생합니다. 이렇게 한 가지 방수재로만 시공을 하기 보다는 두 가지 자재로 함께 시공을 하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바탕 정리 작업

크랙을 잡기 위한 방수시트와 방수층을 쌓기 위해 방수액을 함께 사용할 것인데, 그 전에 옥상 바닥이 콘크리트 맨 바닥이기 때문에 사전 작업이 필요합니다. 벽면에 하자가 있는 부분을 살펴 가능한 데까지 제거하고 바닥 부분도 확인합니다.

물청소 작업

그 다음 물청소 작업에 들어갑니다. 고압 호스를 사용하여 옥상 바닥의 먼지와 이물질은 물론 찌든 때까지 제거합니다. 여기까지가 본격적인 작업에 앞선 밑 작업입니다.

미장 작업

바닥이 울퉁불퉁하여 평평하지 않은 부분에는 미장 작업을 해야 원활한 시공이 가능합니다. 미장은 침투 방수액과 몰탈을 섞어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

이번에는 프라이머 작업입니다. 프라이머는 침투 방수액을 바닥 전체에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미세한 먼지를 흡착시켜 제거하고 바닥에 스며들어 침투 방수의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누수에 취약한 우수관이나 벽체의 조인트 부분에는 기초 시트 작업이 필요합니다. 기초 작업은 방수액을 먼저 도포한 후 시트를 알맞은 크기로 잘라 붙여 진행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

기초 작업 후 본격적으로 바닥 전체에 시트를 부착합니다. 마찬가지로 방수액을 도포한 후 시트를 부착하는 방식입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시트는 크랙이 다시 갈라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잡아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질긴 섬유 소재를 사용하여 크랙을 잡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함침 작업

바닥에 시트를 모두 덮었다면 이제 서로 일체화시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이 함침 작업입니다. 함침은 침투 방수액을 시트 위에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진행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

방수시트를 부착한 틈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작업을 해야합니다. 밴드 형태의 방수시트를 길게 붙여 틈을 막아줍니다. 이 과정이 보강 시트 작업입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이제 방수시트에 이은 방수재인 방수액을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천연 재료인 돌가루로 만든 친환경 방수액입니다. 방수액은 총 3차례 도포하여 방수층을 튼튼하게 쌓아줍니다.

완공 사진

마지막 작업으로 상도를 진행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까지 방수액과 방수시트, 두 가지 방수재를 함께 사용해 작업한 방수 시공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 시공을 옥상에 하는 작업은 시공 비용이 적지 않게 들어가는 것이 현실입니다. 처음에 방수 시공을 할 때 비용을 아끼겠다고 방수액만으로 작업을 한다면 추후에 하자가 반드시 재발할 것입니다. 이런 일을 막기 위해서는 방수액과 함께 방수시트까지 사용하는 것이 방수력이 튼튼합니다. 이 말은 곧 하자가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내다봤을 때 유리하다는 말이 됩니다.

방수 시공을 할 옥상

하자로 인해 발생한 누수 때문에 시공이 필요한 옥상의 모습입니다. 정리가 되지 않아 먼지와 이물질이 쌓여 있습니다. 원활한 시공을 위해 먼저 바닥을 정리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바탕 정리 작업

먼저 밑 작업으로 바닥 정리를 시작합니다. 하자로 인해 들뜬 바닥을 깔끔하게 제거하는 작업입니다. 도구가 필요한 부분은 칼이나 그라인더를 사용해 작업합니다.

물청소 작업

다음은 물청소 작업입니다. 본 작업에 들어갔을 때 이물질이 남아있으면 원활한 시공이 어렵기 때문에 물청소를 진행합니다. 고압 세척기로 작업하여 더욱 깔끔하게 청소할 수 있습니다.

미장 작업

바닥이 평평하지 않고 울퉁불퉁하게 단차가 있는 부분에는 미장 작업이 필요합니다. 몰탈과 침투 방수액을 혼합한 것을 가지고 미장을 진행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한 후 기초 시트 작업에 들어갑니다. 누수에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기초 작업입니다. 빗물이 모여 흘러내려가는 우수관이나 조인트 부분이 이에 해당합니다. 방수액을 도포한 후 시트를 부착하여 작업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

다음으로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작업입니다. 더 이상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크랙을 확실하게 잡아주는 과정입니다. 방수액을 도포한 후 시트를 서로 조금씩 겹쳐서 부착합니다.

함침 작업

바닥에 시트를 부착한 후 함침 작업을 진행합니다. 시트가 들떠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을 시트 위에 전체적으로 도포하면 바닥과 일체화되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보강 시트 작업

시트를 조금씩 겹쳐서 부착할 때 생기는 틈으로 물이 새지 않도록 막아주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밴드 모양의 방수시트를 붙여 틈을 막습니다. 이 과정을 보강 시트 작업이라고 합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완성된 방수시트층 위에 방수액을 도포할 차례입니다. 시트로 크랙을 확실하게 잡아준 후 방수액으로 층을 쌓아주면 확실하게 방수 시공을 할 수 있습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방수액입니다. 작업은 총 3차례에 걸쳐 진행하여 모두 합해 7겹 이상의 방수층을 형성합니다.

방수 시공 완공 사진

마지막 작업으로 상도를 진행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방수액과 방수시트로 작업한 방수 시공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시공 후 관리가 잘 된다면 계속해서 고쳐서 쓸 수 있는 옥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옥상 방수를 한 번 완벽하게 시공해두면 누수에 대한 걱정이 크게 줄어듭니다. 비용이 적지 않게 들어가는 만큼 하자의 재발 가능성이 낮은 시공법을 택해 작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 면에서 방수시트로 크랙을 잡고 방수액으로 층을 쌓아 방수력을 높이는 복합시트 방수로 하는 옥상 방수가 장기적으로는 더 가성비가 좋을 수 있습니다.

우레탄으로 작업한 옥상

초록색 옥상으로 대표되는 우레탄은 예전부터 옥상 방수를 할 때 자주 사용하는 자재였습니다. 요즘은 색상이 다양해져 회색으로 칠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레탄은 크랙을 잡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 하자가 계속해서 재발합니다. 그리고 이때마다 보수를 위한 비용이 발생합니다.

우레탄 방수의 하자

우레탄의 하자는 보통 이렇게 바닥의 크랙을 감당하지 못해 갈라져 터지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벽체에도 마찬가지로 칠이 벗겨져 있습니다. 이렇게 크랙이 있는 부분에 시트를 부착하면 효과적으로 잡아 줄 수 있습니다.

바탕 정리 작업

먼저 하자가 발생한 부분을 가능한 데까지는 제거합니다. 하자 부분을 그대로 두고 작업을 하면 그대로 틈을 타고 물이 들어가 하자가 재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필요한 부분은 칼과 그라인더 등 도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물청소 작업

바닥을 어느정도 정리한 후 물청소 작업에 들어갑니다. 옥상을 먼지와 이물질을 보다 깔끔하게 제거하기 위해 고압 세척기를 사용해 작업합니다. 이렇게 밑 작업이 마무리됩니다.

미장 작업

하자나 작업으로 인해 바닥에 단차가 생긴 부분에는 미장 작업이 필요합니다. 바닥이 평평해야 시공이 보다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미장은 침투 방수액과 몰탈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서 작업합니다.

프라이머 작업

다음은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는 바닥에 침투 방수 효과를 주고 미세하게 남은 먼지와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을 바닥 전체에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기초 시트 작업

방수시트를 바닥 전체에 부착하기 전에 크랙을 잡기 위한 기초 작업을 진행합니다. 누수에 취약한 조인트 부분과 우수관에 방수액과 시트를 사용해 작업합니다. 방수액을 도포한 후 시트를 부착하고 다시 덧칠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

이제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합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시트는 섬유 소재를 사용합니다. 크랙을 잡기에 용이하여 다시 갈라지지 않게 고정해줍니다. 바닥에 방수액을 도포한 후 방수시트를 서로 조금씩 겹치게 부착합니다.

함침 작업

다음은 방수시트 위에 침투 방수액을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시트와 바닥을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일체화시켜 하자가 발생하지 않게 만드는 작업입니다. 이 과정을 함침 작업이라고 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

서로 조금씩 겹쳐 부착한 시트 사이의 틈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밴드 형태의 시트를 붙여 막아줍니다. 이 작업을 보강 시트 작업이라고 부릅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다음은 방수액 도포 작업입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친환경 방수액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적인 기름 냄새가 없어 시공 후 쾌적합니다. 방수액 도포는 총 3번 진행하여 7겹 이상의 방수층을 형성합니다.

옥상 방수 완공 사진

마지막으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상도 작업을 합니다. 상도는 방수층을 보호하여 방수력을 오랫동안 보존시켜줍니다. 이렇게 복합시트 방수로 작업한 옥상 방수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 종류의 선택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할 기준은 방수력입니다. 물론 시공 비용이나 과정 등도 중요하지만 어떤 자재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의 방수력을 갖는지가 장기적으로 봤을 때 더 중요합니다. 방수 종류는 많지만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함께 사용하여 시공하는 복합시트 방수가 방수력 면에서 봤을 때 우수합니다.

우레탄으로 작업한 옥상

우레탄으로 시공한 옥상의 모습입니다. 우선 우레탄은 하도, 중도, 상도의 3단계로 시공합니다. 하지만 우레탄은 크랙을 억제할 수 있는 힘이 없어 하자가 계속해서 발생합니다.

실리콘으로 보수한 모습

갈라진 부분을 실리콘으로 보수해 놓은 모습입니다. 임시방편으로 보수를 했지만 실리콘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금방 다시 터져 안타깝게도 효과가 미미합니다.

바탕 정리 작업

작업에 앞서 임시방편으로 작업한 실리콘이나 하자가 있는 부분 등을 가능한 데까지 제거합니다. 도구로 작업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는 칼과 그라인더 등으로 작업합니다.

물청소 작업

다음으로 물청소를 진행합니다. 옥상에 쌓인 먼지나 각종 이물질, 찌든 때를 벗겨내기 위한 작업입니다. 일반 호스가 아닌 고압 세척기를 사용하여 더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습니다.

프라이머 작업

지금 상태로는 옥상 바닥에 아무런 처리도 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1차적으로 침투 방수의 효과를 주면 좋습니다. 이를 위해 침투 방수액을 바닥 전체에 도포합니다. 이 과정을 프라이머 작업이라고 합니다.

퍼티 작업

옥상 바닥에 전체적으로 홈이 있기 때문에 바닥을 평평하게 만들어줘야 합니다. 퍼티로 홈을 메워 바닥을 평평하게 만드는 편이 앞으로 진행할 시트 작업에 용이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빗물이 모여 내려가는 우수관, 벽체와 바닥이 만나는 조인트 부분 등은 누수에 취약합니다. 하자가 자주 발생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방수액과 시트로 기초 작업을 해주면 좋습니다. 이 과정이 기초 시트 작업입니다.

바닥 시트 작업

기초 작업 다음으로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합니다. 섬유 소재의 시트를 바닥에 부착하면 크랙을 고정해 갈라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방수액을 도포한 후 시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작업합니다.

함침 작업

시트를 부착한 후 바닥에서 떨어져 틈이 생기면 누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일을 막기 위해 침투 방수액을 시트 위에 전체적으로 도포해주면 바닥과 시트를 서로 일체화시켜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 과정이 함침 작업입니다.

보강 시트 작업

방수시트의 사이에 틈이 있으면 그 사이로 물이 들어가 하자가 생깁니다. 밴드 형태의 시트를 길게 붙여서 틈을 완벽하게 막아줍니다. 이 과정을 보강 시트 작업이라고 합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다음은 방수액을 도포합니다. 모든 시트 작업을 끝낸 후 방수액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쌓는 과정입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천연 재료인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자재입니다.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적인 냄새가 없어 시공 후 쾌적합니다.

완공 사진

쌓아 올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도 작업을 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과정입니다. 이 작업을 끝으로 옥상 방수 종류의 하나인 복합시트 방수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샌드위치 판넬 방수에서 집중적으로 시공해야 할 부분은 배수로입니다. 물이 모여서 흘러내려가는 부분이기 때문에 하자가 자주 발생하는 곳입니다. 물론 판넬 지붕 자체에도 녹이 슬어 하자가 생길 수 있습니다. 방수액만 사용해 샌드위치 판넬 방수를 하기보다는 시트와 함께 복합적으로 시공해서 방수력을 높이면 좋습니다.

샌드위치 판넬 배수로의 모습

보시다시피 배수로에 고여있는 물과 함께 이물질이 많습니다. 철로 된 부분에 녹이 슬어 하자가 쉽게 발생하는데 보통 실리콘 등으로 급하게 보수를 합니다. 하지만 지붕이 태양열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분이라 열에 약한 실리콘은 다시 쉽게 터져버립니다.

물청소 작업

먼저 본격적인 방수 작업에 앞서 밑 작업으로 물청소를 진행합니다. 일반적인 물청소가 아닌 고압 세척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 깨끗하게 청소가 가능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이제 물이 밑으로 빠져나가는 우수관과 배수로의 이음새 부분에 기초적인 시트 작업을 시작합니다. 터져버린 실리콘 등은 깔끔하게 제거하고 방수액을 먼저 도포한 후 시트를 부착하고 다시 덧칠합니다. 그런 다음 방수시트를 배수로에 전체적으로 부착합니다.

배수로 방수액 도포 작업

다음으로 배수로 전체에 방수액을 도포합니다. 시트로 방수층을 만들고 그 위에 방수액으로 다시 층을 쌓아줍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제품으로 화학 제품에서 나는 자극적인 냄새가 없어 시공 후 쾌적합니다.

지붕 시트 작업

녹이 슬어 하자가 생긴 지붕에도 배수로에 했던 작업과 마찬가지로 방수액과 시트로 방수 작업을 진행합니다. 우레탄을 덧칠한 것으로는 막지 못해 방수액을 도포한 후 시트를 부착해 작업합니다. 시트가 자체적으로 크랙을 잡아주기 때문에 하자가 다시 발생하지 않습니다.

완공 사진

마지막으로 자외선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도 작업을 합니다. 상도를 마지막으로 방수액과 시트로 작업한 샌드위치 판넬 방수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부분 방수는 옥상 전체에 방수 공사를 하기에 부담이 될 때 선택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하자가 발생한 부분이 제한적이라면 그 부분에만 방수 시공을 하면 누수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방수시트와 방수액을 함께 사용해 부분 방수를 하면 하나만 쓰는 것보다 더 좋은 방수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누수에 취약한 우수관, 조인트 부분

빗물이 모여 흘러내려가는 우수관이나 벽체와 바닥이 만나는 조인트 부분은 옥상에서 누수에 특히 취약한 부분에 해당합니다. 하자가 잘 발생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중점으로 작업해주면 좋습니다.

우수관, 벽체 부분 방수 작업

이렇게 방수시트를 알맞은 크기로 잘라 준비한 후 방수액을 먼저 도포합니다. 다음으로 시트를 하자가 발생한 부분에 부착하고, 방수액을 다시 덧칠해주고 말려줍니다. 벽체의 경우 밴드 형태의 시트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조인트 부분 방수 작업

조인트 부분에도 마찬가지로 방수액을 도포한 후 방수시트를 L자 형태로 만들어 부착합니다. 그 다음 방수액을 다시 덧칠해줍니다. 이렇게 누수에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여 부분 방수 작업을 진행합니다.

장애물 부분 방수 작업

기둥 형태의 장애물 부분과 같이 작업이 불편해 보이는 부분이라도 시트가 유연하기 때문에 수월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작업 방식은 앞의 과정과 동일합니다. 이렇게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작업한 부분 방수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