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된 옥상방수방법으로 시공해야 옥상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옥상에 하자가 발생하는 가장 주된 원인은 무엇일까요? 바로 옥상에 생긴 크랙입니다. 따라서 제대로 된 옥상방수방법은 크랙을 확실하게 잡아 옥상에 하자가 재발하지 않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크랙을 확실하게 해결하여 방수력을 높일 수 있는 옥상방수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레탄 옥상방수의 하자

옥상방수를 하는 방법 중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우레탄 방수입니다. 우레탄은 시공이 간편하고 빠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그에 반에 크랙을 잡아주는 힘이 없어 옥상에 크랙이 한 번 생기게 되면 계속해서 하자가 재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지금 보고 있는 이 현장도 마찬가지의 상태입니다.

바탕 정리, 물청소 작업

우선 시공에 들어가기 전에 밑작업을 진행합니다. 밑작업은 바탕정리와 물청소 작업인데요. 하자가 심해 계속해서 쓸 수 없는 부분을 제거한 후 물청소 작업으로 옥상을 깨끗하게 만드는 작업입니다. 물청소는 고압 세척기를 사용하여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

이 옥상에 시공할 것은 복합시트방수입니다. 복합시트방수는 크랙을 잡기 위해 방수시트를 부착하고 그 위에 방수액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첫 번째 과정으로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은 침투 방수액을 옥상 전체에 도포하여 기초적인 방수 효과를 주는 작업입니다.

미장 작업

옥상에 단차가 있다면 시트를 부착했을 때 들떠 빈 공간이 생기게 됩니다. 이 틈으로 물이 들어가면 하자가 재발할 수 있기 때문에 단차를 없애주는 작업이 필요한데요. 이를 위해 미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미장은 침투 방수액과 몰탈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작업을 진행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누수가 발생하기 쉬운 우수관과 조인트 부분에는 기초 시트 작업이 필요합니다. 하자가 재발하지 않도록 보강하기 위한 작업으로 방수액과 시트로 기초 작업을 진행합니다. 방수액을 칠한 후 시트를 부착하고 다시 방수액을 칠해 마무리합니다.

지붕 시트 작업

작업 현장에 지붕이 있습니다. 지붕에도 물이 새지 않도록 방수시트를 부착합니다. 마찬가지로 방수액을 칠한 후 지붕 전체에 방수시트를 덮어줍니다. 빈 공간이 없도록 꼼꼼하게 작업을 진행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

다음은 옥상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작업입니다. 질긴 섬유 재질로 만든 방수시트를 작업에 사용하기 때문에 크랙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습니다. 접착제 역할을 하도록 방수액을 도포한 후 시트를 바닥에 부착합니다.

함침 작업

방수시트를 바닥에 부착한 후 함침 작업을 진행합니다. 함침 작업은 침투 방수액을 바닥 시트에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은 시트에 스며들어 옥상 바닥과 서로 일체화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

바닥에 방수시트를 부착할 때 시트 사이에 약간의 틈과 단차가 생기게 됩니다. 시트의 가장자리를 조금씩 겹쳐서 부착하기 때문인데요. 이 틈과 단차를 그대로 두면 누수가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막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시트 사이의 틈을 막아주기 위한 이 작업을 보강 시트 작업이라고 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은 방수시트 밴드를 길게 붙여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다음 작업은 방수액 도포 작업입니다. 튼튼하게 쌓아 올린 방수시트 위에 방수액을 도포하는 작업으로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무기질 방수액을 사용합니다.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적인 냄새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방수액은 총 3차례 도포하여 방수층을 만들어줍니다.

완공 사진

복합시트방수의 마지막 작업은 상도입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여러 옥상방수방법 중 크랙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옥상을 오랫동안 사용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렇게 만든 옥상은 추후 상처가 나더라도 그곳만 고쳐서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