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방수를 할 때 사용하는 방수자재는 종류가 다양합니다. 가장 흔한 우레탄은 화학 제품이지만 천연 재료를 사용한 친환경 방수액도 있고, 균열을 확실하게 잡아주기 위한 방수시트도 있습니다. 우레탄은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지만 균열을 잡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하자의 재발이 쉽습니다. 반면 방수시트로 균열을 잡고 그 위에 방수액을 도포하는 복합시트 방수는 하자의 재발률이 낮습니다. 이처럼 어떤 방수자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방수력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방수자재의 선택이 중요합니다.
누수가 발생한 건물의 옥상입니다. 기존에 작업한 도막방수에서 하자가 발생해 누수가 일어났고, 그 위에 덧칠을 해보고 인젝션 방수도 해봤지만 누수를 잡지 못했습니다. 방수액만 칠해서는 균열을 잡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바닥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무거운 물건을 올려놨던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 특히 상태가 좋지 않고, 벽체의 조인트 부분에도 하자가 있는 모습입니다. 특히 조인트 부분은 옥상에서 하자가 가장 잘 발생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도막방수에서 하자가 생겼으므로 균열을 확실히 잡아 하자의 재발을 막기 위해 복합시트 방수를 시공하기로 했습니다.
본격적인 시공 전에 작업에 방해가 되는 부분을 제거하는 바닥 정리 작업과 고압 세척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물청소 작업을 합니다. 사전 작업을 통해 원활한 시공을 하기 위함입니다.
하자가 있는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생긴 단차가 있는 곳이나 바닥이 고르지 않은 부분을 평평하게 만들기 위해 미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미장은 침투 방수액과 몰탈(시멘트)을 일정 비율로 섞어 작업합니다.
앞서 물청소 작업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했지만 미세하게 남은 먼지와 이물질은 프라이머 작업으로 제거합니다. 침투 방수액을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먼지를 흡착 제거하고, 바닥에 침투 방수의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바닥의 균열을 잡기 위해 방수시트를 부착하기 전에 기초 작업이 필요합니다. 누수에 취약한 조인트 부분에 먼저 방수액과 방수시트로 보강 작업을 진행합니다.
물이 흘러내려가는 우수관도 누수에 취약한 부분입니다. 마찬가지로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함께 사용해 보강 작업을 합니다. 방수시트를 가위로 알맞게 잘라 굴곡이 있는 부분도 충분히 작업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바닥 전체를 방수시트로 덮는 작업입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시트는 부직포 재질의 섬유 소재이기 때문에 방수액을 잘 머금을 수 있고, 신축성이 좋아 바닥의 균열을 확실하게 잡아 다시 갈라지지 않도록 고정합니다. 방수액을 먼저 도포한 후 그 위에 시트를 부착합니다.
다음은 바닥에 부착한 시트가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함침 작업입니다. 방수시트가 바닥에서 떨어져 들뜨게 되면 그 틈으로 누수가 생기기 때문에 침투 방수액을 도포해 고정합니다.
함침 다음으로는 방수액을 코팅합니다. 방수액은 총 3차례에 걸쳐 코팅합니다. 복합시트 방수는 앞선 작업에 더해 3번의 코팅을 하기 때문에 총 7겹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반면, 도막방수는 하도, 중도, 상도의 3단계로 모든 시공이 끝나기 때문에 방수력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천연 방수자재입니다. 친환경 방수액이기 때문에 화학 제품인 우레탄 특유의 자극적인 기름 냄새가 없고 인체에도 무해합니다. 두통이나 메스꺼움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 후에도 쾌적합니다.
마지막으로 자외선을 차단해 방수액을 보호하는 상도 작업을 합니다. 이렇게 친환경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방수자재로 사용한 복합시트 방수의 모든 시공이 마무리됩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레탄 바닥은 금방 망가지고 맙니다. (0) | 2021.06.03 |
---|---|
방수전문업체 선정을 고민하고 계신가요? (0) | 2021.05.28 |
튼튼한 방수공사가 누수를 막습니다. (0) | 2021.05.10 |
옥상방수로 누수를 막을 수 있습니다. (0) | 2021.05.04 |
복합방수는 하자 없이 튼튼합니다. (0) | 2021.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