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누수가 일어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우레탄으로 시공한 옥상의 경우 계절이 바뀜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 이기지 못하고 터져버릴 수 있고, 에어컨 실외기나 화분 등 무거운 물건에 의한 상처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옥상누수가 발생했을 때, 한 번 하자가 일어난 우레탄보다는 방수액과 시트로 작업하는 시트 방수가 장기적으로 봤을 때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기존에 우레탄으로 작업한 옥상에 하자가 발생했습니다. 갈라진 바닥을 막아보려 우레탄으로 덧칠을 한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얼마 못 가서 다시 터져버리고 말았습니다.


사진에서와 같이 터져서 갈라진 틈으로 물이 새어 들어가면 누수가 발생합니다. 우레탄은 이렇게 발생한 크랙을 근본적으로 잡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아무리 덧칠을 해도 다시 하자가 발생합니다.


우선 하자가 있는 부분을 제거하기 시작합니다. 만일 옥상의 하자를 그대로 두고 시공을 하면 결국 그곳으로 누수가 다시 발생하기 때문에 먼저 가능한 한 제거를 하고 본격적인 작업을 시작합니다.


다음은 물청소 작업입니다. 옥상의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으로 고압 호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묵은 때까지 깔끔하게 없앨 수 있습니다.


바닥에 1차적으로 침투 방수의 효과를 주면 더욱 효율이 좋기 때문에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합니다. 침투 방수액을 옥상 전체에 도포하는 작업으로 침투 방수의 효과와 함께 바닥에 남은 먼지와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단차가 있거나 고르지 않은 바닥이 있는 경우에는 미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미장은 몰탈과 시멘트를 섞은 혼합물을 가지고 진행합니다.


다음은 기초 시트 작업입니다. 벽체의 조인트 부분이나 우수관은 누수에 취약한 부분에 속하기 때문에 방수액과 방수 시트로 기초 작업을 진행해 보완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은 옥상 바닥 전체에 방수 시트를 부착하는 작업입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시트는 신축성이 좋기 때문에 크랙을 단단하게 잡아주고, 건물의 수축과 팽창에 잘 견뎌 수명이 오래가도록 도와줍니다.


다음으로 진행하는 함침 작업은 방수 시트와 옥상 바닥을 서로 일체화시키는 작업입니다. 함침은 침투 방수액을 방수 시트 위에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진행합니다.


바닥에 시트를 부착할 때 서로 겹쳐 부착하기 때문에 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틈으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수 시트 밴드를 길게 부착해 틈을 막아줍니다.


다음은 방수액 도포 작업입니다. 방수액은 총 3차례에 걸쳐 도포하는데, 앞선 과정에 더해 총 7겹의 방수층을 형성합니다. 때문에 하도, 중도, 상도의 3단계로만 끝나는 우레탄 방수보다 방수력이 탁월하며 오래갑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천연 재료(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방수액입니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적인 냄새가 없어서 별 다른 이상 없이 시공 후에 쾌적합니다.


방수액을 보호하기 위한 상도 작업을 마지막으로 복합 시트 방수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옥상이 반영구적인 방수 수명을 갖게 되기 때문에 옥상누수의 걱정이 없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침투 방수제는 방수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요? (0) | 2021.01.21 |
|---|---|
| 방수공사, 더 이상 고민하실 필요 없습니다. (0) | 2021.01.13 |
| 시트 방수로 완벽 방수했습니다. (3) | 2021.01.04 |
| 하자가 발생한 옥상에서 바닥방수했습니다. (0) | 2020.12.30 |
| 크랙보수, 어떻게 할지 고민이신가요? (0) | 2020.12.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