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에 하자가 발생하면 바닥방수를 하여 보수해야 합니다. 바닥방수를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우레탄만으로 방수 공사를 하기보다는 방수액과 방수 시트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 시트 방수라면 더욱 튼튼하게 바닥을 보수할 수 있습니다.
작업 전 옥상을 살펴보면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먼지와 각종 이물질이 쌓여 지저분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바닥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부풀어 오른 부분도 있고 아예 벗겨져 맨바닥이 드러난 부분도 보입니다. 이렇게 하자가 발생한 부분을 통해 누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본격적인 바닥방수 작업에 앞서 바닥을 쓸고 닦는 바닥 정리와 함께 물청소 작업을 진행합니다. 바닥의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으면 앞으로의 작업이 효율적이지 않을 뿐더러 하자의 재발률도 크게 올라가게 됩니다.
앞서 보셨듯이 바닥이 부풀어 오른 부분은 그냥 두고 작업하면 밑으로 물이 차오를 수 있으므로 칼로 가능한 데까지 제거합니다.
다음 과정은 프라이머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을 바닥 전체에 도포하는 작업으로 침투 방수의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바닥에 남아있는 먼지와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기도 합니다.
작업을 하다보면 바닥이 고르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 부분에는 몰탈(시멘트)과 침투 방수액을 일정 비율로 섞어서 미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옥상에는 누수에 특히 취약한 부분이 존재합니다. 물이 흘러내려가는 우수관(배수관)과 벽체의 조인트 부분 등이 이에 속하는데요. 이러한 취약점을 보강하기 위해 방수액과 방수 시트로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다음은 바닥 시트 작업입니다. 이 과정은 말 그대로 옥상 바닥에 방수 시트를 부착하는 작업으로, 방수액을 먼저 도포한 후 시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 시트는 신축성이 뛰어난 섬유 소재를 사용한 시트로 크랙을 잡는 데에 큰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건물의 수축과 팽창에 잘 견디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갈라짐을 잘 막아줘 건물의 수명 연장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함침은 바닥에 부착한 방수 시트가 들뜨지 않도록 일체화시키는 작업입니다. 바닥에서 시트가 들뜨게 되면 그 틈으로 누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꼭 일체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침 작업은 방수 시트 위에 침투 방수액을 도포하는 것으로 진행합니다.
방수 시트를 바닥에 부착할 때, 3~5cm 정도 겹쳐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 때 생기는 틈으로 물이 새어 들어가지 않도록 방수 시트 밴드를 길게 부착하여 막아줍니다. 이 과정을 보강 시트 작업이라고 부릅니다.
다음 과정은 방수액 코팅 작업입니다. 우리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우레탄 방수는 바닥방수를 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입니다.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온도의 변화에 대한 내구성이 약하기 때문에 하자가 쉽게 발생하는 편인데요. 복합 시트 방수는 앞서 진행한 여러 작업 과정과 함께 방수액 코팅만 3번을 더해 7겹 이상의 방수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방수력이 탁월합니다.
코팅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방수액입니다. 천연 재료를 사용한 친환경 자재이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것은 물론, 화학 자재 특유의 자극적인 기름 냄새가 없습니다. 때문에 두통이나 메스꺼움의 유발 없이 시공 후에도 쾌적합니다.
친환경 방수액을 보호하고 방수력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 상도 작업을 마치면 복합 시트 방수로 진행한 바닥방수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하자 보증 기간(A/S)은 6년이며, 한 번 제대로 시공을 해놓는다면 옥상에 상처가 나더라도 그 부분만 고쳐 쓸 수 있는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게 됩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상누수가 걱정되시나요? (0) | 2021.01.08 |
---|---|
시트 방수로 완벽 방수했습니다. (3) | 2021.01.04 |
크랙보수, 어떻게 할지 고민이신가요? (0) | 2020.12.23 |
옥상방수비용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0) | 2020.12.16 |
방수전문업체 선정이 고민이신가요? (0) | 2020.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