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옥상누수는 우레탄 방수같은 도막 방수로는
해결하기가 어렵습니다. 한 번 생긴 크랙 위에 다
시 우레탄을 칠해도 하자가 재발하고 맙니다. 반
면 방수 시트와 방수액을 함께 쓰는 복합 시트
방수는 크랙을 단단하게 잡아줄 수 있어 하자의
재발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가 있습니다.
빌라옥상누수를 해결하기 위해 찾은 한 빌라의 옥
상입니다. 보시다시피 우레탄으로 칠해져 있습니
다. 우레탄은 온도이 변화에 취약한 면이 있기 때
문에 시공 후 2년에서 3년이 지나면 보통 하자가
발생합니다.
옥상의 바닥과 벽면을 살펴보면 이렇게 갈라진 곳
이 여러 군데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갈
라진 틈을 통해 누수가 발생합니다.
하자가 생긴 바닥을 들어낼 수 있는 부분은 들어내고,
옥상에 쌓인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청소
를 진행합니다.
다음은 프라이머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을 바닥 전
체에 도포하는 작업으로 침투 방수와 먼지와 이물질
을 흡착시켜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과정입니다.
누수에 취약한 벽체 조인트 부분과 우수관에는 다른
부분을 작업하기에 앞서 방수액과 방수 시트를 부착
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렇게 누수 취약점을 보완
하는 과정을 기초 시트 작업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바닥 시트 작업입니다. 방수액을 먼저 도포
하고 방수 시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 시트는 신축성이 뛰어나 크
랙을 잡는 데에 유용하고, 건물의 수축과 팽창에도
잘 견디기 때문에 건물 수명의 연장에도 도움을 줍
니다.
함침은 바닥에 부착한 방수 시트 위에 침투 방수액
을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이렇게 하면 바닥과 시트
가 서로 일체화되기 때문에 들뜨지 않아 하자의 재
발률이 크게 낮아집니다.
방수 시트를 바닥에 부착할 때, 서로 3에서 5cm
가량 겹쳐서 부착하게 됩니다. 이 때 생기는 틈으
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수 시트 밴드를 길
게 붙여 보강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다음은 방수액 도포 과정입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자재이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적인 냄새가 없어서
시공 후에도 쾌적합니다.
방수액을 도포할 때, 총 3번을 칠합니다. 앞선 모든
과정을 더하면 총 7층의 방수층을 형성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방수 방법과 비교했을 때, 방수
력 면에서 탁월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방수액을 보호하기 위해 상도 작업을
하면 빌라옥상누스를 해결하기 위한 복합 시트 방
수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추후에 에어컨 실
외기 등 무거운 물건으로 인한 상처가 생기더라도
그 부분만 고쳐 쓸 수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옥
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수자재가 방수력을 좌우합니다. (0) | 2020.11.18 |
---|---|
방수처리가 고민이신가요? (0) | 2020.11.11 |
우레탄시공은 오래갈 수 없습니다. (0) | 2020.10.23 |
우레탄방수액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0) | 2020.10.16 |
옥상방수는 튼튼해야 합니다. (1) |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