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방수는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우레탄방수와 같은 도막방수, 그리고 방수시트를

이용한 시트방수를 합친 방수 공법입니다.

복합방수의 특징은 도막방수와 시트방수의

장점만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튼튼하다는 점입니다.

우레탄으로 시공한 옥상의 모습입니다. 바닥이 갈라지고

터져서 벗겨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우레탄은

온도의 변화에 약하기 때문에 쉽게 하자가 발생합니다.

이 옥상에 복합방수를 시공할 것입니다.

먼저 하자가 발생한 부분을 가능한 데까지 제거합니다.

이렇게 들뜬 부분을 그대로 두고 그 위에 시공하게 되면

누수는 또 다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 고압 호스를 이용해 물청소를 합니다. 묵은

때와 먼지 등 각종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합니다.

물청소 후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은

침투 방수제를 옥상 전체에 도포하는 것으로 바닥의 먼지와

이물질을 완전히 흡착시키기 위한 과정입니다.

바닥을 들어내 단차가 발생한 바닥이나 움푹 패여

고르지 못한 바닥에는 침투 방수제와 몰탈(시멘트)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 미장 작업을 합니다.

그리고 누수에 취약한 조인트 부분과 우수관(배수관)은

방수액과 방수시트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해 보완합니다.

다음은 바닥 시트 작업입니다. 인장력이 뛰어난 방수시트를

옥상 바닥 전체에 부착하기 때문에 크렉(갈라짐)을 잘 잡아주고

건물이 수축하고 팽창함에 따라 같이 호흡하여 건물의 수명이

늘어나는 효과도 볼 수 있습니다.

바닥에 부착한 방수시트와 옥상 바닥이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침 작업을 진행합니다. 함침 작업은 침투 방수제를

방수시트 위에 도포하여 시트와 바닥을 일체화시킵니다.

다음은 보강 시트 작업입니다. 방수시트를 서로 겹쳐서

덮은 틈으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수시트밴드를 길게

부착하는 과정입니다.

복합방수의 다음 과정은 방수액 도포 작업입니다. 1차부터

3차까지에 걸친 방수액 도포에 앞선 모든 과정을 더하면

총 7층의 방수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방수력이 뛰어납니다.

또한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들었기 때문에 피부에 닿더라도 해가 없고, 자극적인

기름 냄새가 없어서 시공 후에도 깔끔합니다.

마지막으로 방수액을 보호해주는 상도 작업을 끝내면

복합방수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