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레탄에 하자가 생기는 이유는 대부분 크랙을 잡지 못해서입니다. 우레탄을 칠하는 것만으로는 내구력의 한계 때문에 크랙을 잡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 크랙을 잡는 것이 우레탄의 하자를 해결하는 길이 될 것입니다. 이 크랙을 잡기 위해서는 우레탄과 같은 방수액에 더해 방수 시트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우레탄 옥상의 하자

우레탄으로 작업한 옥상의 모습입니다. 시간이 지나 하자가 발생한 모습으로 이대로는 방수 작업이 힘듭니다. 밑 작업으로 바닥을 정리한 후 물청소 작업을 해야 합니다.

바탕 정리 작업

옥상에 하자가 생겨 바닥을 들어내야 하는 상황입니다. 하자로 인해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한 부분은 가능한 만큼 들어냅니다. 장애물이 있어 도구가 필요한 부분에는 칼이나 그라인더 등을 사용해 작업을 합니다.

물청소 작업

다음 과정은 물청소 작업입니다. 고압 세척기를 사용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물청소보다 깨끗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옥상에 쌓인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여 원활한 시공 환경을 만들기 위한 작업입니다.

프라이머 작업

밑 작업을 마친 후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라이머 작업은 침투 방수액을 바닥 전체에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침투 방수액이 바닥에 스며들어 침투 방수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미장 작업

다음은 미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바닥에 단차가 있으면 제대로 된 시공이 어렵기 때문에 평평하게 만들어주기 위한 작업입니다. 미장은 침투 방수액과 몰탈을 섞어서 작업합니다.

기초 시트 작업

누수에 취약하여 하자가 발생하기 쉬운 우수관과 조인트 부분에는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취약점을 보강하기 위한 작업으로 방수액과 시트를 사용해 작업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

다음은 바닥 시트 작업입니다. 크랙을 잡지 못하는 우레탄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작업으로 방수 시트를 바닥 전체에 부착하는 작업입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시트는 질긴 섬유 소재로 만들어 크랙이 갈라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잡아줍니다. 접착제 역할을 하는 방수액을 먼저 도포한 후 시트를 부착합니다.

함침 작업

시트를 바닥에 부착했다면 그 위에 바로 방수액을 도포하는 것이 아닌 함침 작업을 진행합니다. 함침은 침투 방수액을 시트 위에 도포하는 작업으로 방수 시트와 옥상 바닥을 서로 일체화시켜 들뜨지 않도록 고정합니다.

보강 시트 작업

방수 시트를 바닥에 덮을 때에는 어쩔 수 없이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됩니다. 이 틈으로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하자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 틈을 막아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작업이 보강 시트 작업으로 방수 시트 밴드를 길게 붙여 틈을 막아줍니다.

방수액 도포 작업

다음은 방수액 도포 작업입니다. 완성된 시트층 위에 방수액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쌓는 과정입니다. 방수액은 총 3번 도포하여 작업합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천연 재료로 만든 친환경 방수액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유해한 냄새가 없어 시공 후에도 쾌적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완공 사진

상도를 마지막으로 모든 작업이 마무리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레탄의 하자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이상의 방수 자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시공을 하는 것이 포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