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 우레탄을 관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 이유는 옥상 우레탄이 크랙을 잡지 못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옥상 바닥에 크랙이 한 번 생기게 되면 그 위를 덮고 있는 우레탄이 계속해서 터지게 되고 그곳으로 누수가 발생합니다. 덧칠을 하더라도 내구성이 그렇게 강하지 않아 다시 터지게 됩니다.
하자가 발생한 우레탄 옥상의 모습입니다. 관리가 잘 되지 않아 상태가 많이 좋지 않은 모습입니다. 시공을 진행하기에 앞서 먼저 바닥을 정리한 후 물청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바탕 정리 작업입니다. 바닥을 간단하게 쓸어내고 하자가 발생한 부분을 모두 들어내 제거합니다. 시공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칼과 그라인더 등 도구를 사용해 작업합니다.
바닥을 정리한 후 물청소 작업을 합니다. 물청소는 고압 세척기를 사용해 작업하기 때문에 바닥에 쌓인 먼지와 이물질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프라이머 작업입니다. 프라이머 작업은 침투 방수액을 옥상 바닥 전체에 도포하는 작업 과정입니다. 침투 방수액이 바닥에 스며들어 방수 효과를 주고 미세하게 남은 먼지나 이물질을 흡착시켜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자가 발생한 옥상의 바닥에는 보통 단차가 있습니다. 이 단차로 인해 원활한 작업이 어려울 수 있어 미장 작업이 필요합니다. 미장 작업은 몰탈과 침투 방수액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바닥을 평평하게 만들어줍니다.
누수에 취약하거나 섬세한 작업이 필요한 부분에는 미리 기초 시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우수관이나 조인트 부분 등에 방수액을 먼저 칠하고 시트를 부착한 후 다시 방수액을 덧칠합니다. 작업이 어려운 구조물에도 방수 시트를 알맞은 크기로 잘라 작업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바닥 전체에 방수 시트를 부착합니다. 먼저 방수액을 도포한 후 시트가 서로 조금씩 겹쳐지게 부착합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시트는 질긴 섬유 소재의 방수 시트입니다. 시트는 바닥의 크랙이 다시 갈라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바닥에 시트를 부착한 후 함침 작업에 들어갑니다. 함침은 침투 방수액을 시트 위에 도포하는 작업입니다. 방수 시트가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서로 일체화시키는 과정입니다.
바닥에 시트를 조금씩 겹쳐서 부착한 틈으로 물이 들어가면 하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틈을 막기 위해서 방수 시트 밴드를 길게 붙여줍니다. 이 작업을 보강 시트 작업이라고 합니다.
모든 시트 작업 마무리 후 방수액을 도포합니다. 방수액은 총 3차례 도포하여 시트 위에 방수층을 쌓아줍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천연 재료인 돌가루를 사용해 만들었습니다. 친환경 방수액이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적인 냄새가 없어 시공 후에 쾌적합니다.
마지막 작업으로 상도 작업을 진행합니다. 상도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옥상 우레탄은 비용이나 시공 과정 면에서는 간편하고 좋을 수 있으나 이후 하자가 발생하면 관리가 어렵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두 가지 이상의 방수 자재를 함께 사용한 복합 시트 방수는 시공 이후 계속해서 고쳐쓸 수 있는 옥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상 방수는 확실한 시공이 생명입니다. (0) | 2022.08.26 |
---|---|
방수 작업의 핵심은 방수력입니다. (0) | 2022.08.11 |
방수 공사를 가장 튼튼하게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0) | 2022.07.22 |
판넬 방수를 할 때에는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0) | 2022.07.13 |
장마철 옥상 방수를 살펴봐야 할 때입니다.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