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방수가 확실하지 않으면 늘 누수의 걱정 속에 살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확실하게 옥상방수를 하는 방법은 어떤 것일까요? 아무래도 방수액만 사용하는 것보다는 방수시트도 함께 사용한다면 더욱 확실한 옥상방수를 할 수 있습니다.
우레탄으로 시공한 옥상은 크랙을 잡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하자의 재발이 잦습니다. 때문에 방수시트로 크랙을 확실하게 잡고 그 위에 방수액으로 방수층을 쌓는 복합시트 방수를 시공할 것입니다.
작업에 들어가기에 앞서 적합한 작업 환경을 만들기 위해 바닥 정리 작업을 진행합니다. 간단하게 먼지와 이물질 등을 쓸어내고 칼과 그라인더 등으로 장애물을 제거합니다.
다음은 물청소 작업입니다. 고압 세척기를 사용해 청소하기 때문에 먼지와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본격적인 작업 전 작업 환경을 만들기 위한 과정입니다.
다음은 프라이머 작업입니다. 바닥 전체에 침투 방수액을 도포하는 작업으로 바닥에 스며들어 침투 방수의 효과를 주고 미세한 먼지와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과정입니다.
물이 흘러내려가는 우수관이나 벽체와 바닥이 만나는 조인트 부분은 누수에 취약한 부분입니다. 이렇게 누수에 취약한 부분에는 방수액과 방수시트로 미리 한 번 시트 작업을 해서 보강해줍니다. 이 과정을 기초 시트 작업이라고 합니다.
기초적인 시트 작업을 마친 후에는 본격적으로 바닥 전체에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바닥 시트 작업에는 신축성이 좋은 섬유 소재의 시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크랙이 다시 갈라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방수액을 먼저 도포한 후 시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며 시트는 약간씩 겹쳐서 부착합니다.
방수시트를 부착한 후에는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작업이 함침 작업으로 침투 방수액을 시트 위에 도포하여 바닥과 일체화시키는 과정입니다.
앞선 바닥 시트 작업에서 시트를 약간씩 겹쳐서 부착한다고 했는데, 이 때 생기는 틈으로 누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틈을 막기 위해 방수시트 밴드를 길게 붙여 막아주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 과정을 보강 시트 작업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방수액 도포 작업입니다. 크랙을 잡기 위한 시트 작업을 바탕으로 그 위에 방수액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탄탄하게 쌓아 올리는 과정입니다. 모든 과정을 더하면 총 7겹 이상의 방수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방수력 면에서 걱정이 없습니다.
작업에 사용하는 방수액은 돌가루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 방수액입니다. 천연 재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화학 제품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 또한 없어 시공 후에도 쾌적합니다.
마무리 작업으로 자외선을 차단하여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상도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 과정을 마지막으로 방수액과 방수시트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시트 방수로 작업한 옥상방수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1600-6815로 언제든지 상담이 가능합니다.
'방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트방수는 옥상의 균열을 확실하게 잡아줄 수 있습니다. (0) | 2021.08.25 |
---|---|
옥상누수는 쉽게 막을 수 없습니다. (0) | 2021.08.16 |
시트방수로 튼튼한 옥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0) | 2021.07.21 |
건물누수는 확실하게 잡아야 합니다. (0) | 2021.07.16 |
도막방수는 간편하지만 누수에 취약합니다. (0) | 2021.07.08 |